Showing 1 - 10 of 40
Korean Abstract: 본고는 200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외자유입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에 대해 서로 대립되는 환율 효과 및 총수요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환율 효과는 외자유입 시 원화의 평가절상에 따른...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22965
Korean Abstract: 자본유입에 대한 이론적ㆍ실증적 연구는 자본유입이 환율의 평가절상을 야기하여 국내 경제를 위축시킨다는 먼델-플레밍 모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자본유입이 소규모 개방경제에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48524
English Abstract: Most of previous studies exploring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nge on economic growth are based upon ….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conducts empirical analyses on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nge on economic growth with … growth in a closed economy could be somewhat exaggerated if the necessary investment resources can inflow in an open economy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12
growth to China after 1990s, based on an analytical approach proposed by the Hummels and Klenow(2005). In this paper …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extensive margin for sustaining growth of export in the long term. In addition, this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203
Korea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교역조건의 추세적 하락요인을 Baxter and Kouparitsas(2000)의 분해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해 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역조건의 변화의 분해방법을 통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4628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채권 및 주식 투자자금간 상호관계에 초점을 두고 글로벌 및 국내 요인이 아시아 신흥국 포트폴리오투자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베이지안 패널 VAR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첫째...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070
Korean Abstract: 최근 우리나라에서 외화예금이 증가하면서 금융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외화예금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증대되고 있다. 외화예금은 금융불안정시 금융시장에 외화유동성을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써 국가신용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07
rises of the mortgage loan are attributed to the changes in the apartment price index. Finally, the mortgage loan growth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98928
Korean Abstract: 아시아 13개국의 외환 보유액 수요를 1990년~2006년간의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아시아 국가에서 수입규모는 외환보유액 결정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고, 또한 동아시아 각국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1290
Korean Abstract: '오차 및 누락'은, 이론상 경상수지와 대외준비자산 증감을 포함한 자본수지와의 합이 0이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실제의 통계작성상 오차가 발생하는 부분을 기술적으로 처리하는 항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