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23
transnationalization of ownership and accumulation. And, third, that the reduction of green-field investment relative to the pre-1997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144268
volume as weights. In addition, the variables, such as growth rate of investment, rate of inflation, and openness are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591
Korean Abstract: 본고는 탄소집약적인 제조업 중심의 우리 경제가 탄소배출에 따른 부정적 외부효과를 감안할 경우 총요소생산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맘퀴스트-루엔 버거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정상 산출물인...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78978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산업별 규제지수를 추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패널공적분 검정과 패널공적분 벡터 추정을 통해 규제가 산업별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패널공적분 검정에서 산업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6492
investment growth is behind the second period of the gradual slowdown, from 2001 to the early 2010s. This finding is inconsistent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50123
correlated relationship between savings rate and investment rate, so-called Feldstein and Horioka (1980) proposition, has been … ageing deepens, both savings rate and investment rate could drop, which implies that the effect of population ageing on … growth in a closed economy could be somewhat exaggerated if the necessary investment resources can inflow in an open economy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12
생산성갭이 크게 축소된 제조업은 혁신주도형 (innovation-based) 성장전략이 적합하고, 선진국에 비해 생산성 수준이 낮은 서비스업은 투자주도형 (investment-based) 성장전략이 유효함을 시사한다. 한편 … investment-based strategy is appropriate in services, given its relatively backward technology. In addition, the estimates for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202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세계투입산출표 데이터(World Input-Output Database, WIOD)를 이용하여 2000년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GVC)의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2008년의 글로벌...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32802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자본 심화, 인적자본 증가, 그리고 총요소생산성 향상으로 분해하였다. 특히 인적자본 증가는 교육수준의 확대에 따른 노동 구성의 변화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35762
Korean Abstract: 우리 경제가 고령화 등으로 인해 과거와 같이 요소투입을 통한 경제성장이 어려워지면서 총요소생산성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나, 성장회계를 이용한 기존 연구들이 각기 다른 방법론을 사용함에 따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2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