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31 - 40 of 47
This paper delv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e and competition, which has long been a subject largely untouched since the issue had been dropped from the multilateral trade agenda in 2003. The need to incorporate elements of competition policy into international trade rules has long been...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61512
Korean Abstract: 최근 중국 동북 3성, 러시아 연해주의 발전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광역두만개발계획(GTI)이 동북아 지역 내의 주요 지역협력 채널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 정부로서는 GTI를 통해 유라시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0401
Korean Abstract: 북한은 세계 각국에 채무를 가지고 있지만 1984년 모라토리엄 선언 이후 이렇다 할 입장을 보이지 않았다. 채무 이자 누적으로 그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2년에는 러시아가 북한의 구소련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3135
Korean Abstract: 북한 당국이 ‘7.1 경제관리개선조치'(이하 ‘7.1 조치')를 시행한지 올해로 만 13년이 지났다. 7.1 (2002~2003)는 북한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개혁 패키지였지만, 이후 反개혁 역류 (2006~2009) 가 발생하면서 용도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1614
This study examines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an inter-Korean FTA in order to expand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meantim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has been free of tariffs (zero tariffs) since 1992 in accordance with...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4407
A central theme of international trade research has been the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on productivity. Early literature on this theme points out that trade liberalization brings resource/organizational adjustment across industries and this adjustment enhances productivity. A traditional...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0880859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0936882
Korean Abstract: 중국 동북 3성은 2010년부터 대대적으로 통상구(세관)의 현대화와 함께 주변국과의 철도, 도로, 교각 등 교역로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변국인 북·러·몽도 이에 호응하여 다양한 협약을 통해 초국경 인프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22987
Korean Abstract: 본 보고서에서는 중국의 제조업 발전 현황과 추세를 산업, 무역, 글로벌 가치사슬(GVC) 데이터 등 다양한 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이 최근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 발전 정책...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18692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남북한 경제통합이 남북 양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모형을 구축하고 성장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기존 연구와의 방법론적 차별점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2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