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40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mployment policies for the youth, women and the elderly. Korea is currently facing problems with employment, as did European countries during the 1990s and 2000s. In the context of low growth and high rates of unemployment, European countries rolled out...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24596
Welfare spending continues to garner a bigger chunk of the national budget in Korea. This has become a key economic issue attracting much public attention. Fiscal conservatives call for tighter controls on welfare spending, while some are calling for greater welfare spending in order to temper...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42731
Beginning with the Global Europe Initiative in 2006, the EU has conducted active trade policy measures to contribute to economic growth, job creation and social cohesion in the European community. Comprehensive and high-leveled bilateral FTA initiatives, among others, have rapidly emerged as a...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7599
Korean Abstract: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 경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제조업에 대한 재조명이다. 성장잠재력 회복, 일자리 확충, 경제위기에 대한 대응능력 제고 등이 국가적 과제로 부상하는 가운데,...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0727
At the EU and national levels, regulatory authorities are implementing or planning reforms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financial supervision. In spite of integrated supervision and regulation at the EU level, EU Member States still retain enforceable supervisory power. Recent developments...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76093
Korean Abstract: 영국의 탈퇴 결정으로 EU(European Union, 유럽연합)는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인구 및 경제 규모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 회원국의 탈퇴 자체가 가져오는 혼란뿐만 아니라, 유로지역 재정위기, 난민사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24059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EU의 최근 중장기 통상전략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최근 다자주의 약화, 미-중 전략 갈등 심화, 코로나19 팬데믹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등의 영향으로 통상환경이 급변하자, EU는 이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356427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유럽연합(EU)의 이민과 노동시장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EU 및 유럽 주요국의 이민 관련 제도를 살펴보고 그 특징을 파악하며, 이러한 특징을 한국과 비교하여 한국의 관련 제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3998
Korean Abstract: EU는 2050년까지 기후중립 채택과 함께 온실가스 감축, 신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등의 환경목표를 달성하고 동시에 역내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최근 친환경자동차산업 개발에 정책적 역량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5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