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32
English Abstract: We examine the predictability of real house price movements along with demographic shifts, using a long time series international panel data set that covers 17 advanced countries over the period of 1950-2015. Since demographic structures change slowly and housing markets adjust...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20875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주택가격이 주택가격채널을 통해 거시경제변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방법으로는 Iacoviello(2005)의 경제구조와 동태적⋅확률적 일반균형(DSGE) 모형을 한국 데이터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2640
English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can be affected by the degree of household indebtedness. We take an interacted panel VAR approach using a panel of 28 countries and thereby obtain several interesting findings. That is, the responses of...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0754
Korean Abstract: 저출산·기대수명 연장 등에 따른 인구고령화는 중장기적으로 ① 자가·전세·월세 등의 점유형태와 주거면적 ② 단독·연립·아파트 등 주택유형 ③ 거주·투자 등 보유목적 측면에서 주택시장에 커다란 구조...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1124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주거실태조사 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자가 가구와 차가 가구의 특성을 자산효과와 소득효과라는 측면에서 구분하고자 한다. 특히 자산과 소득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단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89794
자산은 자본가 계급의 실천 및 사고방식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개념이다. 하지만 자본 주의에 관한 비판적 분석은 상품교환을 자본주의 분석의 초석이라 승인하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은 다른 접근법을 취한다. 나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432067
Korean Abstract: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 중앙은행의 양적완화정책으로 풍부해진 국제투자자금을 매개로 선진국과 신흥시장국간의 금리동조화 현상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미 연준이 정책금리를 인상할 경우 글로벌...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04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발행자의 신용등급이 일정한 등급 이하로 하락할 경우 1) 높은 등급의 채권을 담보로 제공할 발행자의 의무 또는 2) 조기상환을 요구할 투자자의 권리가 발생하는 채권의 가치평가 방법을 실무적인...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6291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금리 변동성의 예측 변인을 선별하고 선택된 변수와 금리 변동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2010년 1월부터 2022년 5월까지의 국고채 금리 변동성과 30개의 국내외 거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353769
Korean Abstract: 예금보험공사는 2022년부터 예보기금 운용대상자산에 미국 국채 포함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뿐만 아니라 일본, 독일 등 주요국 국채로 예보기금 해외 채권 운용의 다변화 필요성 여부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346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