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97
financial institutions. This study finds that while the banking sector can remain robust to Covid19 shocks, several savings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20881
commercial banks and savings banks. Using selected input and output variables of the each banking industry, we estimate the bank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1334
Korean Abstract: 기술기반기업의 금융업 진출로 인한 핀테크의 확산은 이론적으로 기존 금융시스템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핀테크의 금융서비스 확대가 금융안정에 긍정적인 영향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405133
English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emergence of banking crises and currency crises … banking crises and currency crises.In case of the simple binary models without lag, banking crises were associated with … economic recession, inflation, depreciation, the rise of real interest rate, lending boom. But in case of lag models, banking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559
relationship banking with the firms. However, these findings are valid only for large banks. Our findings could provide some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126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금융산업지수(KOSPI 금융업 지수와 KRX Banks 지수)와 개별 금융기관(6개 시중은행과 4개 지방은행)의 주가 수익률의 조건부 분산을 GARCH-ARJI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수익률의 급격한 변화와 관련 있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1325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내부금융 또는 외부금융을 이용한 자금조달방식의 차별화로 인하여 법인세 인하의 기업 투자증대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1996~2014년 21개국 상장기업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VAR모형으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1392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시장리스크의 주된 측정수단인 VaR(value at risk)의 여러 예측모형을 한국의 국고채(1년, 5년, 10년 만기 할인채) 보유수익률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EVT(extreme value theory)를 적용한 모형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12974
Korean Abstract:본 연구는 유럽중앙은행(ECB)에서 금융시장 불안정성 지표로 활용되고 있는 Composite Indicator of Systemic Stress(CISS)를 국내시장에 적용하여 한국형 금융시장 불안정성 지수를 제시하고 지수에 함의된 정보를 분석했다....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13719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신호접근법을 사용하여 조기경보모형을 구축하고 2008년 우리나라의 위기가 예측 가능했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를 예측하기 위해 구축된 모형의 골격을 바꾸지 않고 2008년 위기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07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