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22
The Bank of Korea, through a legal amendment in 2011 following the financial crisis, was entrusted with the additional responsibility of financial stability beyond its existing mandate of price stability. Since then,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prolonged increase in household debt...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517419
Korean Abstract: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하면서 주요국 중앙은행은 정책금리를 제로수준까지 대폭 인하하고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등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도입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비전통적 통화정책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071
Korean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한국은행의 대표적인 신용정책 수단인 금융중개지원대출제도(구 총액한도대출제도)가 중소기업 대출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금융중개지원대출이 중소기업의 대출에 어느 정도 영향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072
Korean Abstract: 인구고령화는 경제성장은 물론 인플레이션, 경상수지, 재정 등 거시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다만 인구고령화가 구체적으로 거시경제에 어떻게 얼마만큼 영향을 미칠지는 경제주체들의 행태, 제도, 정책...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2791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2016년 도입 예정인 경기대응완충자본 제도를 운용하는 데 있어 활용할 수 있는 기준지표를 탐색한다. 신용, 거시경제, 금융시장 등 총 7개 부문 42개 변수에 대해 1981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네...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0600
Korean Abstract: 금번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응하면서 미 연준과 유럽중앙은행은 다양한 형태의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도입하였다. 본 논문은 두 중앙은행의 정책집행을 배경과 원칙을 중심으로 비교, 조망한다. 미 연준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16
Korean Abstract: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그동안 경시되어 왔던 통화·신용량의 중요성이 학계 및 중앙은행을 중심으로 재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양적지표를 실제 금리중심의 인플레이션 타게팅 운용체계에 어떻게 접목시킬...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210
Korean Abstract: 본고는 주택부문 거시건전성 정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사건연구와 동적패널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6년 3월부터 2015년 6월말까지 서울시, 경기도 및 6대 광역시의 시군구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86876
English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one-peak and twin-peaks frameworks of financial supervision based on a theoretic … mandates on financial supervision. Finally, supervisors also may reproduce regulation incompleteness which could be removed by … designing structural governance of supervisors corresponding to a framework of financial supervision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93799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시스템리스크 측정에 관한 그간의 연구성과들을 소개하고 시스템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거시건전성 정책체계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한국의 현행 거시건전성 정책체계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98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