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38
Africa's markets. Korea has also taken notice of Africa's diverse export markets recently. However, Africa is comprised of 53 … contributes to discussions of this strategy by comparing the effects of economic growth in South Africa and Nigeria on Sub …-Saharan Africa. In addition, because economic power in Africa is concentrated in a small number of countries, whose market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606
This report builds and expands upon the analyses of Report Card No. 6 which considered relative income poverty affecting children and policies to mitigate it. Report Card 7 provides a pioneering, comprehensive picture of child well being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six dimensions: material...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05018049
Korean Abstract: LIS 기준의 소득개념과 방법론을 이용하여 계산된 한국의 가처분소득 기준의 소득불평등도(지니계수)는 1996년에 0.298, 2000년에 0.358로 나타나 소득불평등도가 외환위기 전후로 상당히 상승되었다. 이러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703
Korean Abstract: 민간보험은 공적보험과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민간보험은 소득계층에 따른 접근성 차이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 도덕적 해이로 인한 공적보험 재정악화 등의 우려를 낳고 있다....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219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건강검진을 통해 혈압수치 등과 같은 자신의 현재 심혈관 계통의 건강 상태에 대하여 잘 알고 있을수록, 건강 검진을 받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자신의 건강을 위하여 운동과 같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4626
Korea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산업재해 행정자료 및 건강 관련 서베이 자료를 이용하여 로봇도입이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데이터는 2010~19 년 근로복지공단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255571
Korean Abstract: 본고에서는 고용보호가 노동시장의 이원화에 미치는 영향을 기존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OECD 기준 임시직비율뿐만 아니라 단기근속비율, 임금십분위 배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066
Korean Abstract: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해외수요 위축으로 종래 제조업-수출 위주의 성장전략이 한계를 나타냄에 따라 수출-내수간 균형성장과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대안으로서 서비스 산업 육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35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경제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성장 둔화의 요인을 살펴보고, 국제비교적 관점에서 위기 이후의 성장 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수량변수 및 가격변수를 이용한 성장회계 분석 결과는 경제위기 이후 급격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260
Korean Abstract: 엄밀한 성장요인 분석을 위해서는 취업자수 및 인적․물적 자본스톡뿐 아니라 취업자의 평균 취업시간 및 취업시간 변화에 따른 노동능률의 변화를 동시에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간별로 발표되고...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