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9 of 9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저임금이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저임금 인상으로 산업내 최저임금 미만자 및 영향자의 비율이 상 승하는 경우 근로자들의 비정규직화 비율 및 정규직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6393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본격화되고 있는 GATS Mode 4 협상의 쟁점, 주요국의 1차 양허안 및 한국에 대한 양허요청안 등을 분석하여 Mode 4 협상타결의 시나리오를 예상하고 Mode 4 자유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436
English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levy-grant system for on-the-job training affects individual workers …' training level and the subsequent wage growth. Some notable results include: (i) the workers at the firms facing high net … benefits (i.e., grant minus levy) receive more firm training indeed, and (ii) training provision raises post-training earnings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4605
Korean Abstract: 본고에서는 고용보호가 노동시장의 이원화에 미치는 영향을 기존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OECD 기준 임시직비율뿐만 아니라 단기근속비율, 임금십분위 배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066
market policies will increase youth employment, such as combining education with job training. Finally, it is about time to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1328
job training programs in Korea affect immigrants’ labor market outcomes by apply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2017년과 2019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마이크로자료를 이용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분석을 통해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 The results show that job training program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by 6.4 percentage points and have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50641
applying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The results confirm heterogeneous treatment effects among training types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자료를 이용하고 일반화된 성향점수매칭법(Generalized Propensity Score matching, GPS)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공공훈련기관과 대학에서 …English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various training programs on employment rate among college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25911
Korean Abstract: 지난 20여 년간의 지속적인 출산율 감소 현상에 대응한 최근의 정책논의에서 출산율 감소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많이 이루어진 데 반해 실증적 연구 결과의 양은 아직 빈약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출산율 감소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213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09573579